2025.07.27 가함 부동산 경제 뉴스
[부동산 시장동향]
[헤럴드경제] “대출규제 충격 끝났나” 서울 집값 바로미터 ‘이곳’ 상승폭 커졌다[부동산360]
서울 부동산 시장의 ‘풍향계’로 불리는 송파구가 다시 움직였다. 지난 6·27 대출규제 발표 이후 단기 조정 흐름 속에서도 유일하게 반등에 성공하며, 서울 집값 회복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경제] 숨죽인 집값, 불안한 전세…"눈높이 낮춰 틈새 노려야" [부동산플러스]
‘역대 최강 대출 규제’라 불리는 6·27 대책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났다. 대출 규제 직전만 해도 7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던 서울 집값은 상승세가 둔화하며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하지만 이 같은 진정세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될 지 미지수다. 아파트 공급 급감, 금리 인하 등으로 아파트 가격이 언제든 오를 수 있는 요인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 강남 집주인들도 절레절레…애물단지 된 꿈의 '조식 서비스'
재건축·재개발 단지에서 조합원의 기대를 받았던 ‘호텔식 식음 서비스’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서울 강남권 등에서 유행처럼 도입됐지만, 막상 입주 후엔 높은 비용과 소음, 냄새 민원 등이 끊이지 않고 있어서다.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는 식사 서비스 도입 1년 만에 가격 인상 요구를 이유로 제공 업체 교체에 나섰다.
[뉴스1] 시장은 멈췄고, 문제는 남았다…'공급 정책'에 주목[6·27 규제 한달]
정부는 6월 말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재건축 이주비 대출도 사실상 차단하는 강도 높은 자금 규제를 시행했다. 단기적으론 집값 과열이 일부 진정됐지만, 실수요자의 자금줄이 막히고 전세는 월세로 전환되는 양상이다. 공급 대책의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뉴스1은 이번 조치의 효과와 그 이면, 시장의 대응과 구조적 변화를 입체적으로 짚어본다.
[데일리안] ‘찬밥신세’ 지식산업센터…주거시설 용도변경 현실성 ‘물음표’
한때 수익형 부동산 인기 투자처로 꼽히던 지식산업센터(지산)가 부동산경기 침체와 고금리 등이 맞물리면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머니투데이] 한달째 상승폭 꺾인 서울 집값, 뚜렷한 관망세 속 강동·송파 강세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폭이 4주 연속 꺾였다. 6.27 대출 규제의 여파로 매수심리가 주춤하면서 관망세가 뚜렷해진 분위기다. 다만 전세시장은 휴가철 비수기에도 매물 부족으로 24주째 오름세를 기록했다.
[정부 주요정책/동향]
[데일리안] 경기도, 오산 세마2지구 16만㎡ 도시개발 본격 추진…'실시계획 인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70년 만에 고도제한 기준을 전면 개정하면서 서울시가 규정의 영향을 받는 다른 지자체와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다음 달 4일 발효되는 고도제한 관련 ICAO 국제기준 개정안에 대응해 서울시 주도로 관계기관 태스크포스(TF)를 가동 중이다.
[국제신문] 시청앞 행복주택 1단지 8월부터 입주(종합)
부산도시공사(사장 신창호)는 지난 21일 시청앞 행복주택 1단지의 사용검사를 완료하고 오는 8월 1일부터 입주를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데일리] 어두웠던 고가 하부, 쉬어가는 정원으로…그린아트길 조성
서울의 어두웠던 고가도로 및 철도고가 하부 공간이 쉬어가고 싶은 정원으로 탈바꿈했다.
[금융/일반]
[매일경제] “내 돈 술술 빠진다, 카드 복제사고 속출”…해외여행 전 ‘이것’ 신청하세요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해외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카드 도난·분실, 복제 등에 따른 카드 부정사용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
[디지털타임스] “주담대 62%공식 깨지나”… 은행권, 기업금융 늘린다
은행권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중심의 영업 포트폴리오를 대대적으로 재편한다. 이재명 대통령까지 나서 ‘이자 장사’를 질타하자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이다. 은행들은 기업금융뿐만 아니라 대체 수익원 발굴,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확대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경제] 진화하는 여행자 보험…열사병·항공기 지연까지 보장되네
[건설사 동향]
[아이뉴스24] 방배신삼호 재건축 시공사 선정 무산
26일 업계에 따르면 방배신삼호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이날 총회를 열고 HDC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선정할 것인지에 투표를 진행한 결과, 410표 중 반대 228표를 받아 부결됐다.
댓글
댓글 쓰기